Place

장계면

호덕마을 전경 호덕마을
침동마을 전경 침동마을
주촌마을 전경 주촌마을
장계마을 전경 장계마을
무농마을 전경 무농마을
금곡마을 전경 금곡마을

장계리

동동마을

구연대터(龜蓮臺): 웃방모퉁이 동쪽 냇가 큰 석대위에 있는 정자 터. 동정대, 자락정과 더불어 장계의 삼기(三奇)로 유명했다.

중동(중하대)마을

기르깃들: 중동 서쪽에 있는 들인데 지형이 기러기라 모래 바탕에 앉은 형국이라 함.

금곡리

동정(動靜, 洞庭)대마을

서문씨굴: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왜군이 임현내면으로 쳐들어오자 진사 서문 표는 남다른 의리와 충성심을 가지고 의병을 일으켜 필사의 항쟁을 했으나 세가 약하고 불리하여 후일을 기약하고 이 굴에 피신하여 위급을 면하였다고 한다.

금덕리

위동(位洞)마을

도장골: 구무골 서쪽에 있는 도장과 같이 깊숙한 골짜기

모샛골: 마을 앞쪽에 있는 모래가 많은 골짜기

발내밋 고개: 마을 북쪽에 있는 발내미로 넘어가는 고개

비앗골: 마을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비아탁 시혈이 있다고 전해짐

서운고개: 마을 남쪽에서 송천리로 가는 고개, 송천리에 살았던 전주 이씨 묘가 배가 다니는 혈인 행주형인데 시주 온 도승을 푸대접하여 도승이 이곳에 앉아 서운하다고 하였다고 함.

우롱박골: 마을 동쪽에 있는 우렁과 같이 생긴 골짜기

제롱골 방죽: 위동과 송천리 제롱골 경계에 있는 방죽, 지금은 농공단지가 들어서 흔적이 없어짐

침동(砧洞)마을

옥녀직금혈(玉女織錦穴): 마을 남동쪽 산 아래에 있는 손씨 부인 묘. 옥녀가 비단을 짜는 혈이라고 함.

침동(砧洞)마을

벼락바우: 짖재 밑에 있는 바위. 두 쪽으로 갈라져 있는 데 벼락을 맞아서 그렇게 되었다고 함

성관사: 사찰 주변은 산혈이 백학이 나는 형국으로 남덕유산의 지맥인 깃대봉에서 수많은 학이 내려와 모이를 쪼아먹는 명당이라고 한다.

대곡리

주촌(朱村)마을

말 궁그런 재: 마을 뒤쪽에 있는 큰 고개로 경사가 급해 말이 굴러 붙여진 재

명덕리

반송(盤松)마을

반송마을: 반석위에 큰 소나무가 있다하여 불리어진 이름이다.

구 시봉: 할미성 남서쪽에 있는 산으로 산 모양이 구유형이라고 한다.

육십령 고개: 호남과 영남의 문패를 함께 달고 있는 고개이며 예부터 산짐승과도적들이 들끊어 60여 명의 사람이 모여야만 재를 넘을 수 있었다는 전설이 있다.

양삼(陽三)마을

대적골 소: 대적골에 있는 소인데 용이 살았다고 함.

동명(東明)마을

수비재: 장계면의 큰 수비재와 계북면의 작은수비재로 나뉘며, 달리 지보재, 새비제 라고도 불린다.

평지(平地)마을

김해김씨지비: 김중건의 딸로 시어머니를 정성껏 모셨으며 칠성단을 두어 지극정성으로 천지신명께 기도하여 시어머니의 눈을 뜨게 하였다고 한다.

무농리

원무농마을

무농리: 200여 년 전 서문 씨가 처음 자리 잡았고 봉산 이씨와 충주 박씨, 경주김씨가 들어와 마을로 커졌다고 전해짐

괴사리 골: 바랑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계 혈이 있다고 전해진다.

대호군묘(大護軍墓) 타락봉 서쪽 아래에 있는 대호군. 황경창(皇慶昌)의 묘

모치: 마을 남서쪽에 있는 밭.

동촌(東村): 마을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 전에는 마을이 있었다고 전해짐.

바우배기: 마을 남쪽 큰 바위가 박혀 있던 논

새땀: 액미터 동쪽 들.

샛도랑: 삼봉리에서 시작하여 마을 앞까지 흐르고, 금덕리에서 흐르는 물과 합수하여 금강 상류로 흘러 들어간다.

액미터: 뒷골 남쪽 언덕 밑에 있는 고개

육씨 효각: 육봉천(陸夆天)은 옥천인으로 자(字)는 경운(景雲)이고 호(號)는 송우로 이 사람의 효행을 조정에 품게 하여 예조의 명에 의해 효자문을 건립

망남마을(발래미)

추원재(追遠齎): 마을 근처에 황희정승 후손들의 묘소가 자리 잡고 있으며 마을 중간 좌측에 재각을 가리킨다.

바랑골: 발내미 북동쪽에 있는 골짜기.

발내미 재: 발내미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원무농마을로 넘어가는 고개

함정골: 발내미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지형이 함정같이 깊숙한 골짜기

삼봉리

금정마을

개안(開眼)들: 금정마을 앞에서 장계 한들이 한눈에 조망되면서 눈이 열린다고 하여 개안들이라고 불린다.

각시보(원당수): 개안들 남서쪽에 있는 보. 가마솥처럼 생겼다 하여 지어진 이름인데 지금은 다 메워져 흔적을 알아보기 힘들다.

거무바우: 개안들 남동쪽 산 밑에 잇는 큰 바위.거미처럼 생겼음

금바웃골: 일제 강점기에 사금을 채취하기도 했다 함.

남산(南山)마을

남산마을: 마을 실개천을 경계로 동쪽을 노루정골이라고 하고 소나무가 울창한 골짜기를 송정이라고 한다. 서쪽은 당골, 동쪽은 동매골, 남쪽은 절골이라고 하는데 절이 있었다고 함.

솔정이: 남산 동쪽, 소나무가 울창했던 골짜기

무군수 방죽: 천한 골 서쪽 방죽, 군수 무씨 때 막았다 함.

팔밭골: 노평 남동쪽에 팔밭(개간)한 골짜기

시영굴: 팔밭골 기슭에 있는 바위굴. 깊이 약 50㎝로 옛날에 수연을 캔 굴

연파조대(烟波釣臺): 노평 앞 자락정 옆에 있는 대.

벽계당터: 조선조 때 참봉 한대윤이 정자를 짓고 이 근처가 옛 벽계현이 이었던 것을 기념하여 벽계당 이라고 함.

탑동마을

평온정(平溫亭): 평온한 마을을 기원하는 뜻

송천리

서변(西辺)마을

개구리 바위: 바위 옆 산줄기에 명당인 사두혈(巳頭穴)이 있다고 함.

냉천: 찬 시암골

성애들 고개: 찬시암골 북쪽에서 계북면 농소리로 넘어가는 고개.

앵골: 서편과 새터 사이에 있는 골짜기

신기(新其)마을

참시암골 고개: 학당 골에서 월강리 도장골로 넘어가는 고개.

오동리

원오동(原梧桐)마을

구시봉 봉수: 산 모양이 마치 소나 말의 구유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달리 깃대봉 혹은 봉화산이라고 불림.

양천(陽川)마을

양천마을: 양지 땀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산젓골이라 부르기도 한다.

월강리

도장(道藏)마을

월강리(月岡里): 달이 뜨는 산등성이라고 해서 달구재라 부르기도 함.

망화당터: 월강제 위쪽 반석 위에 있는 망화당 터.

매봉: 도장골 동쪽에 있는 산. 매를 놓아 꿩을 잡았다고 함

풍천(楓川)마을

저동마을: 모시골이라고도 불리는데 삼베를 짜는 모시가 많이 생산되어 불리었다고 전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