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고대 장수
선사시대, 장수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다.
구석기시대부터 장수군에 인간이 살기 시작한 것이 2003년 장수 침곡리 구석기 유적을 통해 확인되었다. 빗살무늬토기로 대표되는 신석기시대의 흔적은 1997년 천천면 남양리와 월곡리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본격적으로 농경문화가 시작되는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고인돌은 금강의 지류인 장수천, 장계천과 섬진강의 지류인 오수천을 중심으로 20여 개소, 140여 기가 확인되었다. 청동기시대 이후 삼한시대와 관련해서, 장수 남양리유적과 침곡리 유적에서 장수군의 지역색이 강한 삼한시대 유적과 유물이 확인되었다. 특히 남양리 유적은 초기철기시대 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기원전·후 장수의 철기문화를 살필 수 있는 중요 유적지로 잘 알려져 있다.
가야, 백두대간을 넘어 왕국을 만들다.
1995년 장수군 천천면 삼고리 발굴조사를 통해 수백점의 가야토기들이 출토되었다. 지역민인 故한홍석옹의 결정적 제보로 시작된 조사를 통해 백제의 변방지역으로 인식되었던 장수가 고대 가야의 왕국이 자리했던 것을 알리는 시작점이 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240기의 왕릉급 고총과 22개소의 봉수유적, 4개소의 고대산성, 70개소의 철생산유적이 확인되었으며, 2019년 장수군 최초로 동촌리 고분군이 국가사적(제552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고대 산업경제의 중심인 철생산유적과 정보통신기술의 원조인 봉수유적들은 장수의 역사에서 대표성을 지닌다. 이처럼 장수군 전역에 걸쳐 화려함을 수놓은 가야유적은 풍요로운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군민의 삶에 있어 자긍심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삼국의 발자취가 남아있는 장수
장수군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기록은 삼국사기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백제 때 장계면은 백해(이)군, 장수읍에는 우평현이 설치되었다. 이후 660년 백제가 신라에 멸망하고 이들 지역은 신라에 편입되었다. 이후 757년 신라는 백해(이)군을 벽계군으로 고쳐 진안과 고택을 영현으로 두었으며, 우평현은 고택현으로 고쳐 벽계군의 영현이 되었다. 이후 776년에는 벽계군과 고택현은 백해(이)군, 우평현으로 바뀌었다. 백두대간과 금남호남정맥으로 둘러쌓인 장수군은 예로부터 육십령, 방아재, 치재, 집재 등 주요 고갯길을 따라 교통로가 발달되었다. 특히 백두대간으로 따라 확인되는 철생산유적들은 장수군이 고대 산업경제의 중심지임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02
중세 장수
장수와 장계, 현재의 이름을 가지다.
1018년 전국의 지명을 다시 중국식 한자명으로 고치면서 우평현은 장수현으로, 백해(이)군은 장계현으로 바뀌었고 이때부터 처음으로 문헌에 장수와 장계라는 지명이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계북면 양악리에 있던 양악소, 천천면 남양리 일대에 두었던 이방소, 천천면 와룡리 일대로 비정되는 천잠소, 장수읍 대성리 일대로 추정되는 복흥소 등과 함께 모두 남원부에 속하는 속현이 되었다. 이후 1391년 장수현과 장계현이 감무관으로 독립되었고, 그 부근의 양악소 등이 두 현의 임내로 이관되었다.
조선의 시작을 알리는 장수향교가 세워지다.
1392년 장계현은 장수현의 직촌으로 통합되었다. 장수현은 1413년 감무가 현감으로 바뀌고는 조선시대 말까지 별다른 변동이 없었다. 조선 초기에는 남원 계수관의 관할이었고, 1466년 이후의 진관제에서는 남원 진관에 속하였으며, 왜란과 호란 이후에 별도로 신설된 진영제에서도 전라도 좌영에 속했다. 또한 1407년 장수읍 선창리 당곡에 장수향교(보물 제272호)가 창건되어 1681년 현재의 자리로 원형 그대로 이건되었고, 정유재란 당시 자신의 목숨을 걸고 향교를 지킨 정경손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와 건축양식을 보존하고 있는 향교로 자리하고 있다.
03
근・현대 장수
장수, 현재의 모습을 가지다.
1895년에 단행된 지방통치제도의 개편 때, 장수현이 장수군으로 되어 남원부에 속했다가 그 이듬해 13도의 설치로 전라북도에 속하게 되었다. 1906년(광무 10년)에는 남원군 산서면, 번암면이 편입됨으로써 대체로 오늘날과 같은 영역이 형성되었으며, 1970년에는 장수군 대성리에 대성출장소가 설치되었다. 그리고는 1979년 5월 1일에 전국의 군청 소재지를 읍으로 바꾸는 조치에 따라 장수면이 장수읍으로 승격되었고, 1993년에는 계내면이 장계면으로 지명이 바뀌었다. 지금은 장수읍을 비롯하여 산서면·번암면·계남면·계북면·장계면·천천면 등 1읍 6개 면으로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