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군의 고분문화

長水郡의 古墳文化 長水文化院

표지사진 전면 하단 : 장수 삼봉리 고총군 항공사진 전면 상단 : 장수 삼고리 13호 출토 유개장경호 후면 상단: 장수 삼봉리 고총 발굴 후 전경

長水郡의 古墳文化 2003 長水文化院

발간사 장 수군은 백두대간과 금남호남정맥의 산 줄기가 사방을 병풍처럼 휘감아 천혜의 자연환경과 지정학적인 잇점을 바탕으로 선사시대 이래로 줄곧 교통의 중심지를 이루었습니다. 백두대간과 금남정맥의 양쪽 지 역에 기반을 둔 세력집단들이 서로 교류하기 위해서는 꼭 넘어야 하는 주요 고개가 장수군과 그 주변지역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백두대간의 산줄기에 위치한 月城崎·六十嶺·中時 · 치재, 금 남정맥의 갈래에 자리한 芝三時·木士里時·솔재 · 싸리재, 금 남호남정맥의 무령고개· 수분치·마치·개치·고돔치·자고 개· 신광치 등이 대표적입니다. 장수군은 또한 천혜의 자연환경과 교통의 요충지라는 지정학 적인 잇점을 살려 선사시대부터 선진지역으로 발돋움하였습니 다. 그럴 가능성을 입증해주듯 청동기시대의 지석묘는 전 지역 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천천면 남양리에서는 기원전 부족장 의 고분으로 추정되는 적석목관묘가 조사되었습니다. 삼국시대 에 이르러서는 백제에 정치적으로 병합되기 이전까지 가야문화 를 기반으로 발전한 가야세력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 발간사 ·3

다. 다름 아닌 금강 상류지역에 가야세력이 존재하였다는 고고 학적인 단서를 제공해준 천천면 삼고리 고분군이 장수군에 자리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수군에 지역적인 기반을 둔 가야세력 지 배자의 고분으로 추정되는 100여 기의 중대형 고총과 그 하위계 층의 분묘유적이 밀집 분포된 점에서 이들 세력은 소국체제를 유 지하면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 문화원에서는, 지난해 장수군을 대상으로 관방유적의 분 포양상과 그 성격을 밝히기 위한 문화재 지표조사를 실시하고 모 든 조사내용이 수록된 「장수군의 산성과 봉수」라는 책자를 발간 하였습니다. 모두 18개소의 산성은 대체로 삼국시대 때 설치된 행정치소와 백두대간 혹은 금남정맥의 산줄기에 주로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조선 초기에 정비된 5봉수로가 통과하지 않는 장수 군과 그 주변지역에 밀집 분포된 27개소의 봉수는, 이곳의 역사 성과 지역성을 강하게 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더욱 이 이들 관방유적에서는 가야계 수혈식 석곽묘 출토품과 흡사한 삼국시대 토기편이 상당량 수습되어, 그 조성시기와 성격을 어느 정도밝힐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뜻깊은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장수군에 분포되어 있 는 고분문화를 주제로 하여 이 책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그동 안 장수군에서 조사된 고분과 지표조사를 통해 새롭게 찾아낸 고 분뿐만 아니라 장수 주변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고분까지 총망라 해서 정리하고 역사적인 사실을 재조명함으로써 장수군의 역사 를 널리 알리고자 하였습니다. 아울러 면담조사와 현지조사 때 상세한 제보와 직접 안내까지 4· 장수군의 고분문화

해 주셔서 많은 분묘유적을 찾는데 큰 도움을 주신 장수군민들에 게 무한한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장수군 고분문화의 역사성 을 조명하는데 물심양면으로 지원해 주신 장재영 군수님, 김홍기 군의회의장님과 여러 의원님들, 장수군청 문화관광과 황원하 과 장님을 비롯한 관계자들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그런 가 하면 모든 조사가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늘 격려와 지 원을 아끼지 않은 박계성 박물관장님과 한 개소의 분묘유적이라 도 찾아서 그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고단한 지표조사에 성실하게 참여해 준 곽장근· 조인진· 방민아 · 전상학· 이은정· 김소 연· 노승은·조명일 이진선· 정명옥 · 오학수· 정원기 등 모 든 조사단원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아무쪼록, 이 책에 수록된 30개소의 지석묘와 100여 개소의 고 분군, 10개소의 고총군이 더 이상 훼손될 위험성에서 벗어나 장 수군의 역사와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주는 귀중한 문화유산 으로 자리 매김되는데 큰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2003년 12월 31일 장수문화원장 김진영 발간사 ·5

목차 I.머리말 17 II. 장수군의 자연환경과 교통로의 조직망 27 1. 신무산 뜬봉샘에서 발원한 금강 수계권 29 1) 동부 지역권 · 31 2) 북서부 지역권· 36 2. 팔공산 데미샘에서 발원한 섬진강 수계권 39 1) 요천 유역권 42 2) 오수천 유역권 · 43 3. 교통로의 개념과 그 조직망 45 1) 교통로의 의미와 그 기능· 45 2) 그물망처럼 잘 갖춰진 교통로의 조직망·47 (1) 동서방향 교통로· 49 (2) 남북방향 교통로·57 III. 장수군과 그 주변지역 분묘유적 분포현황 65 1.금강수계권 65 1) 지석묘·67 6· 장수군의 고분문화

2) 고분·76 3) 고총·117 2. 섬진강 수계권 125 1) 지석묘·127 2) 고분·132 3)고총·140 IV. 장수군과 그 주변지역 분묘유적의 발굴현황 147 1. 금강 수계권 147 1) 장수 침곡리 지석묘·147 2) 장수 남양리 고분군·150 3) 장수 삼고리고분군·157 4) 장수 삼봉리고분군·189 5) 장수 호덕리고분군·194 6) 장수 침곡리고분군A 208 7) 진안 황산리 고분군·210 8) 장수 동촌리고총군·239 9) 장수 삼봉리 고총군·257 10) 장수 동촌리고분군·266 11) 장수 침곡리 고분군 B 2 67 12) 장수 양악리 고분군·269 2. 섬진강 수계권 272 1) 장수 봉서리 고분군· 272 목차 7

V. 장수군과 그 주변지역의 고분문화 275 1. 단계의 설정과 단계별 편년 275 1) 제 1단계/선사시대 문화교류의 가교역할·275 2) 제II단계/백제와 가야세력 진출 이전시기 · 277 3) 제III단계/백제의 진출과 내륙 교통로의 장악 · 279 4) 제IV단계/가야세력의 영역확장 및 전성기 · 280 5) 제V단계/백제에 정치적으로 복속된 이후시기 · 282 2. 권역별로 지역성이 강한 금강 수계권 283 1) 선사시대 때 선진지역으로 발돋움·283 2) 남북방향 교통로가 관통하는 북서부 지역권· 299 3) 100여 기의 가야계 고총이 분포된 동부 지역권·318 3. 고총이 일찍 자취를 감추는 섬진강 수계권 350 1) 백제와 가야문화의 공존시기 ·350 2) 백제의 병합과 그 이후의 발전과정· 357 VI. 맺음말 374 8· 장수군의 고분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