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군의 마을 숲

2010. 11 장수군의 마을 숲 글 권종소 사진 강철규 장수문화원

2010. 11 장수군의 마을 숲 글 권종소 사진 강 철 규 장수문화원

수 신 : 장수문화원장 귀하 발 신 :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 456-7 권종소 제목: 장수군의 마을 숲 실태조사 제출 2010년도 장수군내 마을 숲 실태조사 결과를 별책과 같이 제출합니다. 붙임: 장수군 마을 숲 실태조사 1부. 끝. 권종소

목 차 1.서론 1 2. 장수군의 행정구역과 지리적 위치 2 3. 마을 숲의 유래 가. 인류와 숲의 관계 3 나. 고대 민족 생활과 숲의 관계 3 다. 인간 취락과 마을 숲의 관계 4 4. 마을 숲의 조성배경 가. 풍수 지리적 성향 5 나. 숲의 신앙적 역할 5 다. 마을 숲의 조성 성향 7 라. 마을 숲의 효용 . 8 1) 숲의 문화적 기능 · 8 2) 숲의 보건 휴양적 기능(인간치유의 기능) 8 3) 환경적 기능 · 10 4) 풍치적 기능 · 11 5. 마을 숲의 실태(장수지역) 가. 마을 숲의 정의 ·11 나. 조사 배경과 목적 12 다. 마을 숲 조사 범위 ·13 라. 장수지역·마을 숲 일반적 특성 14 마. 마을 숲의 유형 ·15 바. 마을 숲의 형태 ·16 사. 마을 숲의 소유권 구분 ·17 아. 마을 숲의 지목 구분 ·17 자. 마을 숲의 임상과 하층식생 18 차. 마을 숲의 제반시설 · 19 6. 결론 · 19 7. 마을숲 실태조사 · 39 8. 부록 가. 마을 숲 중요 생립 수종의 생태 ·320

1.서 론 마을 숲은 사람이 취락을 이루고 마을을 형성하게 되면서 마을의 안녕과 보호를 위하여 숲을 조성하였다고 본다. 우리 장수 지역의 마을을 방문하다 보면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마을 숲이다. 대 부분의 마을 숲들이 마을 입구나 좌우 옆에 조성되어 있어 한 눈 에 들어온다. 수백년이 된 듯 한 노거수다. 숲에 들어가면 엄숙함 을 느끼며 신성시 여겨진다. 이 숲이 마을 숲이다. 마을 숲은 우 리 조상들의 애락과 정서가 깃들어 있는 곳이기에 언제나 어디에 서나 어떠한 사람이나 아름다운 곳, 그리운 곳으로 기억하는 것이 다. 이러한 우리 고장의 마을 숲들이 조상들로부터 어떻게 가꾸어 져 왔고 어떻게 마을과의 관계를 맺어왔는가 하는 것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고 이러한 선대들의 훌륭한 유산들이 현실사회에서 잊어가고 있어 더 늦기 전에 우리 후손들에게 전해주는 것이 오 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사명이라 생각하여 필을 들게 되었다. 우리나라가 최근 급속한 경제발전과 산업화가 이루어 옴에 따 라 농촌의 생활기반도 산업화, 도시화로 변모해가면서 마을 숲들 이 70년대 새마을운동을 거치면서 도로신설이나 확장과 산업시설 건설, 집단주거시설 또는 전답개간 등으로 인하여 많은 마을 숲이 전면파괴 되거나 일부가 없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방치상태에 있는 마을 숲이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현 산업사회에서는 쾌적한 주거환경이 요구되고 있으나 수요에 미치지 못함이 현실이며 그러한 요구가 빠르게 증가되어 가고 있어 이러한 숲의 문화에 대처할 수 있는 곳은 마을 숲이라 할 것이다. 마을 숲은 마을 주민의 정신적, 정서적 안식처일 뿐만 아니라 사 회적 문화공간으로 발전하고 있어 금후 마을 숲이 지향하여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새로운 모색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 기를 기대하면서 집필한다. -1-

2. 장수군의 지리적 위치 장수군은 전라북도 동부권 깊숙이 자리한 산악분지로서 위도 상으로는 동남끝점이 동경 127°42' 북위 35°28'과 북서끝전은 동 경 127°22'에서 북위 35°41'의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총 면적은 533km2이다. 행정구역상 백두대간의 동쪽으로는 경남 거창군과 함양군을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임실군과 진안군을 접하고 남쪽으로는 남원시 북쪽으로는 진안군 일부와 무주군을 접하고 있다. 번암면과 산서면을 제외한 대부분의 마을이 해발 450m의 고산지역에 형성되어있으며 장안산에서 시작되는 금남호남정맥이 서쪽으로 장수를 감싸고 뻗어내려 신무산(897m)수분령에서 섬진 강과 금강이 발원하여 금강은 장수 천천면의 중심지를 관통하여 진안 용담댐으로 유입되며 장안산에서 발원하여 장계면 대곡으로 부터 흐르는 장계천은 장계중심부를 지나며 계남 장안산(1237m) 서쪽계곡에서 발원하는 유천은 계남의 중심부를 흘러내려 장계천 과 합류하여 천천용광에서 장수천과 다시 합류하여 금강의 상류 인 용담댐으로 유입된다. 계북면은 남덕유산 서봉(1508m) 남쪽 농소계곡으로부터 흐르는 소하천이 진안군 동향면에서 금강과 합 류하여 용담댐으로 유입되고 있다. 또한 번암면 교동리, 수분령에 서 발원하는 섬진강은 번암면 노단리에서 지지계곡천과 합류하여 남원시 요천으로 흐른다. 대부분의 면적이 평야에 속하는 산서면 은 팔공산(1148m)계곡으로부터 흐르는 백운리와 마하리 사이를 흐르는 하천과 오성 쌍계리 사이 상서산(627m)계곡에서 흐르는 천이 동화리에서 합류하여 오수천으로 흐른다. 장수군의 대부분 마을은 하천을 중심으로 계곡 깊숙이 분포되어 있으며 행정구역 은 1읍 6개면 197 자연 분리로 구성되어 있다. - 2 -

3. 마을 숲의 유래 가. 인류와 숲의 관계 인류가 나무와 관계를 시작한 기원은 인류가 집단생활을 통하 여 침구나 의류를 짐승의 털이나 나뭇잎, 나무의 껍질, 짐승의 가 죽 등으로 만들어 겨울의 한기를 막아냈을 것이다. 그 후 나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면서 나무는 의식주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왔다고 보여진다. 즉 인간의 인체를 한기(漢氣)로부터 보호하 고 나무열매나 나뭇잎, 껍질 등으로 식생활을 해결하고 나무를 이 용하여 기거할 가옥을 마련하는 등 나무는 인간의 필수적인 존재 로 등장하게 되면서 나무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유목생활에서 농경생활로 정착하게 되면서 씨족 집단체가 구성되게 되었으며 우리민족은 서기 3세기경부터 부족의 통합운 동과 국가 집단체제를 이루게 되면서 숲에 대한 체계적 인식을 갖게 되었다고 본다. 나. 고대 민족 생활과 숲의 관계 원시적 민족 사회에서는 혈연(血縁)으로 사회공동 집단체를 형 성하고 이들 민족사회는 혼인의 관계에 의하여 민족상호간에 서 로 접촉하고 연결되면서 지연적(地縁的)공동 집단체로 뭉쳐서 확 대되는 과정에서 부족사회의 집단체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이들 은 혈연중심의 부족 내에서 공동체의 기반위에 대소족장(大小族 長)사이에 점차 지배관계가 성립되고 상호 간에 맹약(盟約)이 이 루어지면서 대소부족사이에 세력이 더욱 강화되면서 중앙집권적 왕권으로 발전하여 고대 국가를 구성하게 된 것 이라 하겠다. 이 로 인하여 인간이 유목(遊牧)생활에서 농경생활로 정착하면서 부 족 간에 집단 마을을 형성하게 되고 무성했던 산림은 농경지나 목초지 또는 맹수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인간 집단생활 기거지(集 -3-

團生活起居地)를 확보하게 되면서 마을을 형성하였다고 본다. 이 로 인하여 숲의 유래는 기록에 의하면 삼국시대 이전부터 마을을 형성하게 되었고 마을을 보호하고 풍수해 또는 외세로부터 보호, 주민 생활의 안녕 등을 위한 숲이 조성(造成)되었으리라고 판단된 다. 다. 인간취락과 마을 숲의 관계 인간과 마을 숲의 관계는 인간이 유목생활에서 부족생활로 변 천하면서 취락을 이루어 마을을 형성하게 되면서부터라고 보며 마을은 공동체 구성 협동조직의 기초 단위로서 행정, 경제, 산업,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마을은 행정구역의 기초단위가 되는 인류 문화발전의 중심이라 하겠으며 공동체의 집단체제 강화와 화합과 협동의 기본체제구축의 수단일 뿐 아니라 마을 공동체를 운영하 는 데에는 어떠한 구심점이 필요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맥 락에 의하여 나무에 대한 숭배사상의 발상이라 하겠다. 인간이 한 기(寒気)로부터 보호되고 나무열매나 껍질, 나뭇잎 등으로 식생활 을 해결하고 나무를 이용하여 기거할 기옥을 마련하는 등 나무가 인간 생활의 필수적인 존재로 등장하면서, 나무를 신성(神性)시 여기게 되었으며 노거수와 같은 나무를 신격화하면서 마을을 보 호하기 위하여 나무를 식재하고 마을 주변을 가꾸어왔다고 보며, 마을 숲을 체계적으로 조성하기 시작한 연대는 1,300년대 이후에 숲이 가장 많이 조성된 것으로 예측된다. -4-

4. 마을 숲의 조성배경 가. 풍수 지리적 성향 마을은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천기(天氣)와 지기(地氣)를 충분 히 받아야 하는바 지력(地力), 지맥(地脈), 지혈(地血)등의 지형적 구성을 기초로 한 논리에서 주택, 분묘, 마을, 국가 등 지혈, 지 맥, 지력의 지기적 영향을 가르키는 것으로 예부터 호족(豪族)들 사이에서 널리 이용하여 왔으며 생시에는 양택을 사후에는 음택 이라 하여 국가나 마을이나 개인에 이르기까지 길흉화복(吉区福 福)과 직결된다고 하여 풍수지리설을 선택하여 명당지를 선택하 게 되었으며 오늘날까지 풍수지리설에 의한 명당들을 많이 찾고 있다. 마을과 마을 숲의 조성도 마을의 위치에 따라서 마을의 풍치를 위한 숲, 풍수해 방지 및 강물로부터 제방 등을 설치, 보호하기 위한 숲 조성과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득(得)이 흘러 간다하여 골 짜기에서 흐르는 물을 막아주고 마을에서 보이지 않도록 나무를 조성하고 마을을 감싸고 종지하는 앞산이나 뒷산 또는 옆산 등에 당집이나 단을 만들고 숲을 조성하여 산신제를 모시는 당산 숲 등 마을 숲의 조성도 마을의 흥망과 길흉화복 등을 고려하여 지 혜롭게 배치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마을 숲의 유형을 보면 장 수지방의 모든 마을 숲들이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이루어 진 것이 라 판단된다. 나. 마을 숲의 신앙적 역할(信仰的役割) 단군신화에 따르면 단군의 아버지 환웅이 동방문명 개헌단 3 천을 이끌고 태백산 신단수(神檀樹)아래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웠다. 고대 종교나 정치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환웅을 단수신(檀樹神)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환웅의 아내인 - 5 -